티스토리 뷰
도시에서 열심히 일하고 자식들 독립까지 다 시키고 난 뒤 은퇴하고 살아갈 후반전을 준비하실 경우 귀농귀촌 준비를 많이 생각하십니다. 내가 살던 곳의 생활을 바꿔 시골지역, 농촌에 맞춰 살아갈 준비를 해야하기때문에 신중해야 합니다. 자칫 아무런 준비없이 일단 실행하고 보자고 시작했다가 경제적 손실로 한 가정이 무너질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기 때문입니다. 크게 10가지 정도를 고려할 수 있는데 아래와 같습니다.
1.탐사 및 조사
내가 귀농귀촌하고자 하는 지역을 신중히 조사하고 탐색해야 합니다. 지역의 기후, 토양 조건, 농업이나 어업의 생태계, 교통 여건을 고려하고 그 주변 지역의 귀농자나 현지 농민들과의 소통을 통해 경험과 정보를 얻는 것이 좋습니다.
2.자금 계획
우리가 살아가는데 돈도 굉장히 중요한 요소입니다. 귀농귀촌을 위해 자금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토지구입, 농기구, 씨앗 종자, 비료 등을 포함한 초기 투자비용이 들어갑니다. 그러므로 내가 가지고 있는 자금안에서 가능한 범위로 계획을 세우고 정부의 귀농지원제도 등을 확인해 활용해야 합니다.
3.토지 및 주택구입
귀농귀촌을 해서 터전을 잡고 살아가려면 적합한 크기와 품질의 농지를 찾아야 합니다. 토지의 토양, 용도 등 정확히 확인하셔야 합니다. 특히 주거 공간 같은 경우 주택을 구입하거나 새로 지을 수도 있으나 임대를 먼저 해보고 나중에 구입 등을 결정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4.농업계획
농업을 하기로 결심했다면 어떤 종류의 농업을 할지 결정하고 해당 분야에서의 기술과 노하우를 습득하셔야합니다. 시즌별 농작물 계획과 수확기간을 고려하여 농업일정을 만들어 삶을 계획해야 합니다.
5.교육 및 훈련
'아는게 힘' 늦게 시작하는 만큼 많은 것을 공부하고 준비해야합니다. 농업 관련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필요한 것을 배우고 현지 농촌 커뮤니티에서의 교류를 통해 경험을 나누고 지식을 확장해야 합니다.
6.생활 인프라
생활에 필요한 인프라를 확보해야 합니다. 전기, 수도, 인터넷, 통신 등의 시설을 잘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설치 계획까지 세워야 합니다.
7.비상대비계획
자연 재해나 긴급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해야합니다. 비상 대피 계획 및 응급 처치 기술을 익히는게 좋습니다.
8.지속 가능성 고려
지속 가능한 농업 및 생활방식을 고려해야 합니다. 친환경적이고 에너지 효율적인 방법을 준비하는게 좋습니다.
9.커뮤니티 참여
현지 커뮤니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지역 사회와의 관계를 형성해야 합니다. 지역 농민현동조합 등에 참여 할 수 있습니다.
10.마음가짐
귀농귀촌은 내가 선택한 일입니다. 남탓, 시골탓을 하기보다는 내가 정말 모든걸 감수하고 잘 적응해서 해나갈 수 있는지 잘 검토하고 준비해서 시작해야하는 일입니다. 새롭게 시작하는 삶의 후반부인 만큼 마음가짐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언론이나 매체에 나오는 귀농귀촌을 보면 꿈같이 좋은 부분만 보여지기도 하고 가장 최악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내가 겪기전에는 알 수 없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나중에 안 좋은 결과가 나타나더라고 그것까지 생각한 대책을 세우고 철저히 준비해서 결정해야 하는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즘은 지방에서 인구유입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하고 있어 정보를 많이 알아보고 귀농귀촌을 준비한다면 성공적인 결과를 이룰 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